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영역 바로가기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알츠하이머·웰에이징센터

알츠하이머·웰에이징 센터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알츠하이머·웰에이징(Alzheimer’s & Healthy Aging) 센터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하여 기억력 저하와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고, 최신 치료와 예방프로그램을 통하여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를 위한 통합적 접근을 실천합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개인과 가족, 사회 전체에 심대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중·노년기 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의 조기 진단과 예방, 효과적인 치료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은 단일 질환이 아닌,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타우(tau) 단백질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 병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입니다. 최근에는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PET·MRI 등 첨단 뇌영상, 유전자 분석,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전 단계에서도 조기 진단과 위험 예측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항아밀로이드 항체치료제(예: 레켐비, 키순라)의 등장으로 알츠하이머병의 병인 기전을 직접 표적하는 근거 기반 치료가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본 센터에서 운영중인 클리닉은 다음과 같습니다.




  • 01 기억력 클리닉
  • Memory Clinic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와 치매(dementia)환자를 전문적으로 평가·관리하는 클리닉입니다. 노인정신건강 전문의, 임상심리사, 영상의학과·핵의학과 전문의가 협력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관리를 제공합니다.
  • 02 항아밀로이드
    항체치료 클리닉
  • Anti-amyloid antibody treatment clinic

    레켐비(Lecanemab) 등 최신 항체 치료를 위한 전용 클리닉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에 직접 작용하는 항체치료제를 국내 선도적으로 도입하였습니다. 특화된 주사실을 운영하여 안전하고 체계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합니다.



다학제 협력과 연구 기반

  • 보라매병원 알츠하이머 웰에이징센터는 다학제팀을 구성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세계 유수기관과의 긴밀한 협력하여 임상과 연구를 융합하여, 한국형 치매 진단/치료 및 케어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1신장내과 진료
    • 2장기이식센터 상담

본 센터의 철학은

본 센터의 철학은 환자의 가족이 함께 건강하게 나이 들어가는 것 - 환자에게는 근거 기반의 정밀의학적 치료를, 가족에게는 돌봄 부담을 덜고 삶의 질을 지켜주는 동반자를, 지역사회에는 지속 가능한 치매·노인정신건강 모델을 제시합니다.

본 센터의 철학은 “환자와 가족이 함께 건강하게 나이 들어가는 것”이 센터의 가장 핵심 가치입니다.


임상연구 수행 중 목록

  • 01.

    조기 알츠하이머병이 있는 시험대상자에서 BAN2401 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공개 연장 단계를 포함하는, 위약 대조, 이중 눈가림, 평행군, 18 개월 시험. 제 3상 임상시험

  • 02.

    알츠하이머병 정신병이 있는 성인에서 ACP-204 에 대한 3 건의 독립적인 원활한 등록,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을 위한 마스터 임상시험계획서. 제 2/3상

  • 03.

    알츠하이머병 정신병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ACP-204 의 52 주 공개 연장 시험. 제3상

  • 04.

    퇴행성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Choline Alfoscerate의 위약 대비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제4상 임상시험

  • 05.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BEY2153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평행설계, 위약대조, 제2상 임상시험 및 공개 연장 임상시험

  • 06.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초조 증상의 치료 측면에서 KarXT + KarX-EC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3상,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군 임상시험 (ADAGIO-2)

  • 07.

    알츠하이머병에서 PM012 정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 2b 상으로 용량설정 임상을 진행하고, 선정된 용량으로 임상 3 상을 통해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비열등성 비교 임상시험: 이중 눈가림, 무작위 배정, 활성대조약 비교, 다기관, 평행 임상시험


임상연구 완료

  • 초기 알츠하이머병이 있는 시험대상자에서 E2609 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위약 대조, 이중 눈가림, 평행군, 24 개월 임상시험. 제 3상 임상시험.
  • 전구단계(PRODROMAL) 내지 경도(MILD)의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크레네주맙에 대한 제 3 상,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평행군, 유효성 및 안전성 임상시험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로 치료를 받는 경증중등도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Lu AE58054 의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평행군, 위약 대조시험; 제 3상 임상시험
  • 중등도 및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에서 도네페질 염산염 23mg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제 4상 임상시험
  • 경증에서 중등증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15 개월 간 Leuco-methylthioninium bis(hydromethanesulfonate)를 투여한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군 시험. 제 3상 임상시험
  • 알츠하이머병 또는 행동 변형 전두측두엽성 치매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Leuco-methylthioninium bis (hydromethanesulfonate)의 효과에 대한 공개 연장 임상시험 (Study TRx-237-020) . 제 3상 임상시험
  • 경도에서 증등도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안정화된 도네페질 치료에RVT-101 또는 위약을 추가하여 비교하는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제 3상 임상시험
  • 알츠하이머병 시험대상자에서 RVT-101의 안전성 및 내약성에 대한 장기, 공개 연장 임상시험. 제 3상 임상시험
  • 알츠하이머병과 관련 있는 정신병의 치료를 위한 KarXT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상,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군 임상시험(ADEPT-2)
  • 알츠하이머병 관련 정신병이 있는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KarXT 의 장기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공개 연장 임상시험. 제 3상 임상시험
  • 경도인지장애자에서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EPo04(자작나무 수피 추출물)의 유효 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12주,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