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영역 바로가기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신장내과

신장내과 이미지

신장내과 소개

신장(콩팥)은 혈액을 여과하여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설하는 기능 외에도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소실되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필수적인 장기입니다. 신장은 복막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장기로 좌우에 2개가 쌍으로 존재합니다. 흉추 11번에서 요추 3번 사이에 위치하는데 간장의 존재로 인해 우측 신장이 좌측 신장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합니다.


각 신장의 길이는 약 11-12 cm, 폭은 5-6 cm, 두께는 2.5-3 cm 정도이며 한쪽 신장의 무게는 성인 남자는 125-170 g이고 성인 여자는 115-155 g이다. 양측 신장의 총 무게는 전체 체중의 약 0.4%에 지나지 않지만 생명유지에 매우 중요한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총 심박출량의 20-25%가 신장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신장의 중요한 기능은 첫째, 대사산물 및 노폐물을 걸러서 소변으로 배출하는 배설 기능, 둘째로 신체의 세포나 조직, 장기가 가장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체내 수분량과 전해질, 그리고 산성도 등을 좁은 범위 안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생체 항상성 유지 기능, 셋째로 혈압 유지, 빈혈 교정 및 칼슘과 인 대사에 중요한 여러 가지 호르몬을 생산하고 활성화시키는 내분비 기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신장이 손상되면 신장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해 노폐물이 쌓이고, 혈압이 올라가고, 빈혈이 생기고, 뼈가 약해지고, 영양상태가 나빠지고, 신경손상이 동반되며,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이런 현상은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일어나고 초기에는 환자들이 느끼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일찍 발견하여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적절한 치료의 시기를 놓치거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신질환이 진행하여 말기 신부전 상태가 되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보라매병원 신장내과에서는 사구체신염, 만성신부전, 당뇨병성 신병증 등 신장관련 질환들에 대한 최신 지견을 갖춘 전문의들이 진료를 하고 있습니다.


신장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신장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말기신부전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을 활발하게 시행하고 있으며, 앞으로 새롭게 개발된 방법으로 혈액투석을 할 수 있는 최신 혈액투석 기계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향후 신장이식을 활성화 하여 환자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최신의 신장이식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